우리가 통용하고 있는 성씨의 칭호(稱號)는 한국 고유의 전래적 족칭이 있었으나 시대의 발전(發展)에 따라 중국(漢,唐) 으로부터 문화적 내지 정치적 사유로 수입되여한자화(漢字化) 또는 한성화(漢姓化)한 되어 오늘날 불리워 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 고유 전래의 씨족명칭과 중국식 성의 칭호(稱號) 와는 구별하고 있다.
성(姓)자의 원의(原義)는 출자와 상호 통하고 가녀(家女)가 출가하여 출생한 男女 및 孫을 생(甥)이라고 부른다. 씨족특질이 점차로 소멸함에 따라 출자(出自)를 표시한 명호(名號)를 의미하게 된 것이다.
필경 姓은 부계적 혈족의 표시라고 한다. 즉 성(姓)의 본의(本義)를 부계적(父系的) 혈족(血族)의 표식(標識)이라고 한다. 중국의 성칭(姓稱)은 부계씨족(父系氏族)의 혈족(血族)을 표시하는 명호(名號)에서 시작된 것이다.
고염무(顧炎武)의 所說에 의하면 "氏"란 卿大夫에서 생긴 것이요 옹이나 제후에게는 氏가 없고, 王侯 의 子孫이나 公子, 公孫까지도 씨가 없었다고 한다.
氏가 생긴 것은 봉건적 영토가 확립한데서 비롯한 것이며 씨의 칭호는 대개 地名에서 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아 姓은 혈족적(血族的) 씨족제의 산물이고, 씨 "氏"는 영토적 씨족제의 산물로 보고 있다.